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학생의 자율권과 선택권 확대로 자기주도 식생활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75교를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 1월 도내 고등학생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학생 82.6%가 ‘자율 선택형 급식 운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학년별로는 1학년 86.3%, 2학년 82.9%, 3학년 78.9%가 자율 선택형 급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자율선택급식 협의체와 사전 운영교 의견을 바탕으로 ▲다양한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운영 ▲모델학교 중심 사례 공유 ▲공감대 확산으로 자율선택급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선정은 희망교 신청, 교육지원청 추천, 위원회 선정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지역별‧학교급별‧학생 수 등 학교 여건과 운영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할 계획이다.
모델학교는 4월부터 내년 2월까지 ▲다양한 급식 운영 ▲영양·식생활교육 ▲다양한 공간으로 식당 환경을 개선해 현장 적용 방안을 연구한다.
모델학교에서는 학교 여건에 따라 자율배식, 선택식단, 샐러드바 등을 운영할 수 있고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생주도 급식 활동, 편식‧ 음식물 쓰레기 문제 개선을 위한 영양·식생활교육도 강화한다.
또, 급식 자동화기기 도입과 급식시설을 개선해 조리종사원의 업무 부담을 덜고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해 학교 식당을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교육청은 자율선택급식 전문지원단을 구성해 컨설팅과 연수를 통해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영양·식생활 교육자료를 개발해 학교를 지원할 계획이다.
도교육청 박만영 학교급식보건과장은 “자율선택급식은 학생들이 스스로 급식의 주체가 되고 다양한 급식을 운영해 학생의 자율권과 선택권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학교 여건에 맞는 다양한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운영을 위해 교육공동체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현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난해 협의체 운영, 사전 운영교 보고회, 학생 참여 교육급식 정책 정담회 등을 통해 자율배식형 급식, 영양‧식생활교육 강화, 식단 개선, 저탄소 식단 등 교육공동체 의견을 바탕으로 자율선택급식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2년 12월 23일부터 23년 1월 2일까지 11일간 모바일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참고자료 | | 자율선택급식 모델학교 운영 계획 |
□ 운영 개요
(운영기간) ‘23. 4월 ~ ’24. 2월
(대상 및 규모) 경기도 내 초․중․고등학교 중 75교
(운영목적)
- 자율선택급식 모델 연구 및 운영을 통한 학교급식 만족도 제고
- 자율선택급식 운영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공감대 형성
- 자율선택급식의 체계적 운영과 단계별 확대를 위한 기반 조성
(선정방법) ➊희망학교 신청, ➋교육지원청 추천, ➌ 위원회 선정
- 지역별, 급별, 학생 수 등의 여건과 운영계획 등을 고려하여 선정
(예산지원) 1교당 100,000천원 지원 예정
- 업무경감 및 위생관리 기구, 식당 환경 개선, 영양·식생활교육 관련 운영비 등
□ 운영 방안
(자율선택급식 모델 운영) 학교 현장에 맞는 다양한 모델 적용 운영
* 자율배식, 선택식단, 샐러드바 운영 등을 학교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영양·식생활교육 강화) 학교교육과정 연계 수업 및 학생주도 급식활동 강화
(급식환경 조성) 급식 자동화기기 도입 및 시설 개선, 식당 공간 환경 개선
□ 자율선택급식 전문지원단 운영
(운영목적) 자율선택급식 홍보 및 운영 지원
(구성) 2개팀 [정책팀, 지원팀]으로 총 20명 내외로 운영
(추진내용)
- 자율선택급식 이해 및 홍보자료 제작
- 설명회, 운영 사례 및 성과 나눔, 컨설팅, 연수 등 운영 지원
- 모델학교 현장 모니터링을 통한 피드백으로 점진적 확대 방안 모색
□ 기대효과
학교에서 다양한 자율선택급식 모델 적용으로 학생에게 자율권과 선택권을 확대하는 학교급식 운영
학생주도 실천적 영양ㆍ식생활교육을 통한 식생활관리 역량 강화
식당 환경개선으로 학생들이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설 인프라 구축
자동화기기 도입 및 급식실 시설 개선을 통한 조리종사자의 업무경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