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7.9℃
  • 구름많음강릉 16.3℃
  • 구름조금서울 11.8℃
  • 구름조금대전 10.8℃
  • 흐림대구 14.9℃
  • 흐림울산 15.8℃
  • 구름많음광주 14.5℃
  • 흐림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1.4℃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9.1℃
  • 구름조금보은 7.6℃
  • 구름많음금산 11.0℃
  • 흐림강진군 15.0℃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행정

학교 10곳 중 6곳이 반경 1km내 성범죄자 거주

서울은 10곳 중 9곳에 성범죄자 거주, 특히 5명 이상 비율이 60%

전국 초중고 60%의 학교 반경 1km내 성범죄자가 1명 이상 거주하고 있고, 5명 이상 거주하는 비율도 전국 평균 22%로 확인되었다. 특히 서울 시내 초중고 10곳 중 9곳의 학교반경 1km내에 성범죄자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은혜 의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본 자료는 20168월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성범죄자가 없는 학교는 전국 11,814개교 중 4,703개교로 40%를 차지했고, 특히 세종은 71%로 학교반경 1km내에 성범죄자가 가장 적었고, 전남(69%), 강원(67%), 제주(63%) 순으로 학교 인근이 성범죄자로부터 안전했다. 이에 반해 서울은 성범죄자가 없는 학교 수가 6%(74) 뿐이었고, 부산 10%(59개교), 대구 12%(53개교)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교반경 1km 이내에 성범죄자가 가장 많은 1명 이상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94%(1,231), 부산 90%(562), 대구 88%(383), 광주 87%(269), 인천 79%(4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는 학교 1km이내에 초중고가 여러개 소재할 경우 서로 중복되어 통계처리가 되기 때문에, 대도시 인구밀집지역일수록 성범죄자 거주 비율이 높게 확인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서울은 5명 이상 거주 비율이 60%로 높게 나타났다. 2015년에는 학교 인근 1명 이상 성범죄자 거주자가 59%, 없는 학교가 41%2016년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울을 비롯한 부산, 대구, 광주 등의 대도시도 유사한 경향이 계속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은혜 의원은 우리 아이들의 안전이 위험하다. 매년 학교인근 성범죄자 거주현황을 확인하는데, 매년 수치가 개선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교육부의 학교안전예산이 성범죄자 5명 이상 밀집된 고위험군에 우선적으로 배정되지 않고 있고, 교육부-경찰청-여성가족부 간의 유기적 업무연계도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데, 이 점을 올해 국감에서는 꼭 개선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시도

전체 학교수

성범죄자 1명 이상

거주 학교

성범죄자

없는 학교

학교수

비율

학교수

비율

서울

1,305

1,231

94%

74

6%

부산

621

562

90%

59

10%

대구

436

383

88%

53

12%

광주

310

269

87%

41

13%

인천

511

405

79%

106

21%

대전

299

222

74%

77

26%

경기

2,316

1,574

68%

742

32%

울산

239

148

62%

91

38%

경남

979

513

52%

466

48%

충북

485

229

47%

256

53%

전북

765

335

44%

430

56%

충남

727

274

38%

453

62%

경북

1,002

384

38%

618

62%

제주

194

71

37%

123

63%

강원

673

221

33%

452

67%

전남

903

276

31%

627

69%

세종

49

14

29%

35

71%

합계

11,814

7,111

60%

4,703

40%

<1> 학교(초중고) 반경 1km내 성범죄자 거주 전국 현황

 

 

<2> 학교(초중고) 반경 1km내 성범죄자 거주 세부현황

전체

학교수

1명 거주

2명 거주

3명 거주

4명 거주

5명이상

거주

합계

성범죄자

없는 학교

학교수

비율

학교수

비율

서울

1,305

104

8%

100

8%

122

9%

121

9%

784

60%

1,231

94%

74

6%

부산

621

53

9%

99

16%

83

13%

55

9%

272

44%

562

90%

59

10%

대구

436

82

19%

55

13%

59

14%

37

8%

150

34%

383

88%

53

12%

인천

511

44

9%

47

9%

38

7%

41

8%

235

46%

405

79%

106

21%

광주

310

51

16%

50

16%

38

12%

23

7%

107

35%

269

87%

41

13%

대전

299

36

12%

37

12%

43

14%

33

11%

73

24%

222

74%

77

26%

울산

239

29

12%

43

18%

23

10%

24

10%

29

12%

148

62%

91

38%

경기

2,316

393

17%

294

13%

194

8%

157

7%

536

23%

1,574

68%

742

32%

강원

673

90

13%

42

6%

27

4%

18

3%

44

7%

221

33%

452

67%

충북

485

85

18%

35

7%

22

5%

30

6%

57

12%

229

47%

256

53%

충남

727

125

17%

32

4%

37

5%

30

4%

50

7%

274

38%

453

62%

전북

765

122

16%

64

8%

48

6%

19

2%

82

11%

335

44%

430

56%

전남

903

84

9%

48

5%

38

4%

26

3%

80

9%

276

31%

627

69%

경북

1,002

163

16%

81

8%

48

5%

36

4%

56

6%

384

38%

618

62%

경남

979

189

19%

133

14%

77

8%

49

5%

65

7%

513

52%

466

48%

제주

194

31

16%

12

6%

10

5%

6

3%

12

6%

71

37%

123

63%

세종

49

14

29%

0

0%

0

0%

0

0%

0

0%

14

29%

35

71%

합계

11,814

1695

14%

1172

10%

907

8%

705

6%

2632

22%

7,111

60%

4,703

40%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철산종합사회복지관, 자원봉사자들과 지역을 잇는 단합대회 진행
철산종합사회복지관(관장 김영선)은 18일 해피모아자원봉사단과 함께 단합대회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자원봉사자들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독려하는 한편, 지역공동체 자산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광명시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단합대회는 광명시의 대표적인 명소를 방문하는 일정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들은 ▲광명시민체육관 ▲안터생태공원 ▲도덕산 및 출렁다리를 방문하며 자연을 만끽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을 키우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협동 활동과 미션 수행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며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결속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단합대회 중 식사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광명시 내 식당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상권을 지원하고 지역 내 자원이 선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역공동체 자산화 조성에 일조했다. 더불어, 광명시 노온사동 소재의 아방데코(대표 엄원당)의 지원(이불 90개)을 통해 기념품을 준비하여 지역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해피모아자원봉사단 9기 박상규 회장은 “매년 해피모아자원봉사단의 소속감 증진 등을 위해 단체활동이 진행되는데 올해의 경우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의 명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