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300여명은 26일 오후 시청 정문에서 ‘누리과정 지원없이 출산장려 웬말이냐’ ‘누리교사 처우없이 광명교육 대책없다’는 피켓을 들고 누리예산 긴급지원을 촉구하는 침묵시위를 한 후 철산역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보육교직원들은 “누리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어린이집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며 “지난 3월부터 처우개선비 30만 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보조교사의 경우 월급 78만4천 원을 받지 못해 무보수로 일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또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 누리과정 운영비와 교사수당을 3월부터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지자체는 고양,광명,김포,광주,성남,시흥 등 6개시 뿐 이다. 수원,안산,평택 등 9개 시는 4개월분을 시예산으로 편성했고 5월이면 재원이 떨어지는 나머지 지자체들도 자체 편성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 유독 광명시만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생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누리예산을 지원해달라”고 하였다.
그러나 광명시와 어리이집이 접점을 찾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양기대 시장이 지난 5월 23일 시의회 정례회에서 조화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시정질문에 “정부와 경기도, 경기도의회가 큰 틀에서 결정을 내려야 하며 제20대 국회에 개원하니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며 편법을 동원한 예산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