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립대병원마다 진료비 차이가 상당하다.

대학병원 진료비 비교표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추진에 따라 비급여진료비의 단계적 급여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MRI 진단료, 1인실 병실료, 난임치료를 위한 보조생식술 등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일부 비급여항목에 대한 진료비가 국립대병원 내에서도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목에 따라서는 사립병원보다도 높은 진료비를 받고 있는 국립대병원도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운영위원회)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상급종합병원 및 국립대학병원 비급여진료비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부 국립대병원의 비급여진료비는 전체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학병원 진료비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립대병원 간에도 격차가 크게 나는 항목도 있었다.

 

분석 대상: 전체 상급종합병원 및 국립대학병원 45(치과병원 제외) (기준일: 2019.7.22.)

분석 항목: 상급병실료(1인실), MRI진단료(경추, 요전추, 견관절, 무릎관절), 양수염색체검사, 태아정밀 심초음파, 보조생식술(난자채취 및 처리, 정자채취 및 처리, 일반 체외수정, 배아 이식), 다빈치 로봇 수술(갑상선암, 전립선암),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분석 방법: 상급병실료, MRI진단료, 양수염색체검사 및 태아정밀 심초음파는 병원별 최고비용을 기준으로 산출했으며, 최저비용과 최고비용의 차이가 현저한 보조생식술, 다빈치 로봇수술 및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은 최고비용과 최저비용의 평균을 기준으로 산출함

항목별 순위는 전체 상급종합병원 및 국립대학병원의 진료비 순위이며, 항목별 최고·최저비용 및 국립대학병원의 진료비와 순위를 기재함

 

‘1인실 병실료의 경우 국립대병원 중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이 45만원으로 가장 비쌌으며, 전체 상급종합병원 및 국립대학병원 중 가장 비싼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46만원)과도 1만원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전체 평균 33만원보다는 12만 원 가량이 높았으며, 1인실 병실료가 가장 저렴한 제주대학교병원(15만원)과의 차이는 30만원에 달했다.

 

상급병실료(1인실)

순위

병원명

최고비용

1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460,000

6

서울대학교병원

450,000

8

분당서울대학교병원

448,000

16

경북대학교병원

350,000

16

칠곡경북대학교병원

350,000

23

전남대학교병원

312,000

23

화순전남대학교병원

312,000

31

양산부산대학교병원

270,000

32

부산대학교병원

264,000

34

경상대학교병원

255,000

35

충남대학교병원

250,000

38

전북대학교병원

243,000

40

창원경상대학교병원

211,010

41

강원대학교병원

200,000

41

충북대학교병원

200,000

44

제주대학교병원

150,000

전체(44) 평균

327,636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300,000

 

건강보험 미적용 대상인 척추, 관절 MRI 진단료는 경추, 요전추, 견관절촬영의 경우 서울대학교병원이 725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무릎관절촬영의 경우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7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진료비가 가장 비싼 병원과 가장 저렴한 병원 간 차이는 경추와 요전추 촬영은 195천원, 무릎관절 촬영은 20만원까지도 나타났다.

MRI진단료-경추(목부위)

 

MRI진단료-요전추(허리부위)

순위

병원명

최고비용

순위

병원명

최고비용

1

삼성서울병원

818,000

1

삼성서울병원

818,000

16

서울대학교병원

725,000

16

서울대학교병원

725,000

17

분당서울대학교병원

720,000

17

분당서울대학교병원

720,000

23

양산부산대학교병원

689,100

23

양산부산대학교병원

689,100

25

전남대학교병원

680,000

25

전남대학교병원

680,000

25

화순전남대학교병원

680,000

25

화순전남대학교병원

680,000

27

전북대학교병원

663,000

27

전북대학교병원

663,000

28

충남대학교병원

662,400

28

충남대학교병원

662,400

31

경북대학교병원

640,000

31

경북대학교병원

640,000

31

칠곡경북대학교병원

640,000

31

칠곡경북대학교병원

640,000

34

경상대학교병원

621,850

34

경상대학교병원

621,850

36

부산대학교병원

619,100

36

부산대학교병원

619,100

38

강원대학교병원

590,000

39

창원경상대학교병원

570,030

40

창원경상대학교병원

570,030

41

강원대학교병원

550,000

42

제주대학교병원

550,000

41

제주대학교병원

550,000

45

충북대학교병원

530,000

45

충북대학교병원

530,000

전체(45) 평균

677,960

전체(45) 평균

676,96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195,00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195,000

MRI진단료-견관절

 

MRI진단료-무릎관절

순위

병원명

최고비용

순위

요양기관명칭

최고비용

1

중앙대학교병원

740,000

1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안암병원)

805,000

3

서울대학교병원

725,000

7

분당서울대학교병원

750,000

6

양산부산대학교병원

715,800

17

서울대학교병원

725,000

11

전남대학교병원

680,000

20

양산부산대학교병원

715,800

11

화순전남대학교병원

680,000

25

전남대학교병원

680,000

13

전북대학교병원

663,000

25

화순전남대학교병원

680,000

14

충남대학교병원

662,400

27

전북대학교병원

663,000

18

부산대학교병원

644,000

28

충남대학교병원

662,400

19

경북대학교병원

640,000

32

부산대학교병원

644,000

19

칠곡경북대학교병원

640,000

33

경북대학교병원

640,000

21

경상대학교병원

621,850

33

칠곡경북대학교병원

640,000

25

창원경상대학교병원

570,030

35

경상대학교병원

621,850

26

충북대학교병원

570,000

39

창원경상대학교병원

570,030

28

강원대학교병원

550,000

40

충북대학교병원

570,000

28

제주대학교병원

550,000

42

강원대학교병원

550,000

30

동아대학교병원

540,000

42

제주대학교병원

550,000

 

 

45

동아대학교병원

540,000

전체(31) 평균

646,364

전체(45) 평균

682,248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175,00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200,000

 

한편, 임산부들이 주로 받는 양수염색체검사태아정밀 심초음파검사의 경우 병원 간 진료비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양수염색체검사 비용 역시 국립대병원 중 서울대학교병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대학교병원의 검사비인 87만원과 검사 비용이 가장 저렴한 제주대학교병원(23만원)의 차이는 60만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 세 배 이상 차이가 났다. 태아정밀 심초음파 검사비는 전체 상급종합병원·국립대병원을 통틀어 전남대학교병원이 65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제주대학교병원에서는 18만원으로도 검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47만원의 차이가 났다.

양수염색체검사

 

태아정밀 심초음파

순위

병원명

최고비용

순위

병원명

최고비용

1

한양대학교병원

1,112,360

1

전남대학교병원

650,000

19

서울대학교병원

877,400

3

전북대학교병원

540,000

20

칠곡경북대학교병원

859,007

4

경북대학교병원

485,520

22

경북대학교병원

819,600

4

칠곡경북대학교병원

485,520

24

양산부산대학교병원

798,090

11

충남대학교병원

356,700

25

강원대학교병원

796,000

2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316,000

26

분당서울대학교병원

795,500

22

경상대학교병원

315,640

31

경상대학교병원

709,310

22

양산부산대학교병원

315,640

31

창원경상대학교병원

709,310

24

부산대학교병원

315,590

34

충북대학교병원

630,000

29

충북대학교병원

299,000

38

부산대학교병원

541,200

30

서울대학교병원

298,700

39

충남대학교병원

533,500

31

강원대학교병원

242,760

40

전북대학교병원

500,000

32

창원경상대학교병원

242,250

42

제주대학교병원

228,510

35

제주대학교병원

180,000

전체(42) 평균

809,963

전체(35) 평균

351,265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648,89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470,000

  

난임 치료를 위한 보조생식술 비용도 병원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항목에 따라 적게는 23만원에서 많게는 90만원 넘게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난자채취 및 처리일반 체외수정의 진료비는 각각 강원대학교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이 전체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학병원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난임 치료를 위한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이 무색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난자채취 및 처리(초음파 유도료 포함)

 

정자채취 및 처리

순위

병원명

평균

순위

병원명

평균

1

강원대학교병원

1,476,410

1

삼성서울병원

615,000

2

경북대학교병원

1,156,845

5

경북대학교병원

498,720

6

분당서울대학교병원

877,000

5

부산대학교병원

498,720

11

경상대학교병원

760,195

10

전북대학교병원

287,500

13

부산대학교병원

759,860

1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186,500

16

충남대학교병원

582,650

12

서울대학교병원

175,450

17

서울대학교병원

582,600

15

경상대학교병원

109,570

18

전북대학교병원

564,000

17

강원대학교병원

109,510

20

계명대학교동산병원

400,000

18

계명대학교동산병원

100,000

전체(20) 평균

796,098

전체(18) 평균

328,491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912,41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389,210

 

 

 

일반 체외수정

 

배아 이식

순위

병원명

평균

순위

병원명

평균

1

서울대학교병원

390,000

1

아주대학교병원

792,400

3

분당서울대학교병원

330,000

5

강원대학교병원

741,000

6

강원대학교병원

306,850

8

분당서울대학교병원

562,000

11

경상대학교병원

201,170

10

경북대학교병원

539,340

12

경북대학교병원

201,085

12

경상대학교병원

508,670

12

부산대학교병원

201,085

16

서울대학교병원

355,400

16

전북대학교병원

162,000

17

전북대학교병원

334,000

17

경희대학교병원

159,850

18

부산대학교병원

325,310

 

 

20

충남대학교병원

223,300

전체(17) 평균

258,113

전체(20) 평균

532,635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228,00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517,700

 

갑상선암과 전립선암 치료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빈치 로봇수술’ 비용의 경우 국립대병원에서는 최저 650만원에서 최고 1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갑상선암에 대해서는 전북대학교병원이, 전립선암에 대해서는 부산대학교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의 수술비가 가장 비쌌다. 그밖에 허리 디스크 치료법 중 하나인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의 국립대병원 최고 진료비는 320여만 원(칠곡경북대학교병원), 최저 진료비는 112만원(제주대학교병원)으로 나타나 세 배가량의 차이가 났다.

 

다빈치 로봇 수술(갑상선암)

다빈치 로봇 수술(전립선암)

추간판내 고주파 열치료술

순위

병원명

평균

순위

병원명

평균

순위

병원명

평균

1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11,500,000

1

동아대학교병원

13,500,000

1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3,685,000

5

전북대학교병원

10,000,000

2

부산대학교병원

10,000,000

3

칠곡경북대학교병원

3,259,700

7

칠곡경북대학교병원

9,500,000

2

서울대학교병원

10,000,000

5

전남대학교병원

2,973,400

7

서울대학교병원

9,500,000

10

양산부산대학교병원

9,500,000

10

경상대학교병원

2,661,860

10

충남대학교병원

9,326,950

10

제주대학교병원

9,500,000

11

양산부산대학교병원

2,607,300

1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9,105,000

10

칠곡경북대학교병원

9,500,000

13

전북대학교병원

2,557,000

22

부산대학교병원

8,000,000

17

분당서울대학교병원

9,000,000

14

충남대학교병원

2,540,350

22

양산부산대학교병원

8,000,000

24

화순전남대학교병원

8,870,000

15

서울대학교병원

2,490,000

28

화순전남대학교병원

7,570,000

27

충남대학교병원

8,644,500

18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416,200

32

제주대학교병원

7,000,000

28

전북대학교병원

8,500,000

25

창원경상대학교병원

2,133,860

34

충북대학교병원

6,500,000

34

창원경상대학교병원

7,500,000

30

제주대학교병원

1,120,000

34

창원경상대학교병원

6,500,000

35

충북대학교병원

7,000,000

31

영남대학교병원

953,300

전체(35) 평균

8,643,284

전체(35) 평균

9,125,189

전체(31) 평균

2,430,59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3,500,00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3,000,000

국립대병원 최고-최저 차이

2,139,700

 

박경미 의원은 국립대병원은 공공의료기관으로서 국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만큼 그에 맞는 책무를 다해야한다면서 과도한 수익성 위주의 사업을 지양하고 비급여진료비도 적정 수준으로 책정하는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건강보험공단,우수종사자초청행사및간담회개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17주년을 맞아우수 종사자에 대한 포상 및 격려 국민건강보험공단광명지사(지사장서미경)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17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서비스현장에서 핵심역할을 해온 장기요양기관우수종사자들에 대한 표창 및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묵묵히 어르신을 돌보며 일선에서 제도의 안정적운영과 발전에 기여한 4명의 우수종사자를 선정하여 공단이사장 표창 등 포상을 실시하였으며 그간의 노고를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종사자의 사기 진작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였다. ○우수종사자명단 연번 소속기관명 직종 성명 1 주식회사가은실버케어센터 사회복지사 김영라 2 하안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 김광수 3 광명천사요양원 요양보호사 서성심 4 예담실버케어주야간보호센터(광명점) 요양보호사 지순자 진병욱센터장의사회로 실시된 행사에서 서미경 지사장은 인사말을 통해“노인장기요양보험이국민의사랑을받는공적효보험의역할을감당할수있었던것은 장기요양기관종사자분들의 노력과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고 격려하고 운영주체인공단은 2026. 3. 27.부터 시행되는 지역사회돌봄통합지원사업에서도 전문적이고 책임감 있는 역할로 국민들에게 더욱 사랑 받는 기관이 되기 위해 노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