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행정

광명시, 하안2지구 공공택지 지정에 강한 유감 표명

국토부 발표에 앞서 공공택지 지정 반대 의견 전달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921주택시장 안정 방안(913 부동산 대책)의 후속 대책으로 수도권 내 신규 공공택지를 포함한 주택공급계획을 발표했다. 이 대책으로 경기도 내에서 광명 하안2, 의왕 청계2, 성남 신촌, 시흥 하중, 의정부 우정 등 5곳이 신규 공공택지로 지정됐다.

 

광명시는 국토부 발표에 앞서 함께 공공택지로 지정된 4개 시와는 다르게 자치권을 훼손하는 국토부의 일방적인 공공택지 지정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전달한 바 있다. 구체적인 반대 사유로 지역주민 및 영세 소상공인의 생계문제 미흡한 교통대책 문제 광명뉴타운사업 침체 하안동 기성시가지 슬럼화 야기 신혼부부청년을 위한 일자리창출 대안 부족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국토부는 직권으로 광명시 하안2지구를 공공택지로 지정했다.

 

이에 대해 박승원 광명시장은 직권으로 강행한 이번 국토부의 신규 공공택지 지정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

 

광명시는 지난 1년간 주택가격이 급상승하고 이에 따른 서민 주거문제가 사회적 문제가 된 것에 깊이 공감하며, 주택 규제와 공급 정책을 병행하는 중앙정부의 부동산 대책의 방향성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지난 40여 년간 수도권 주택난 해소라는 명분으로 중앙정부가 광명시에 추진한 주거중심의 밀어붙이기식 국책사업은 결과적으로 주택가격 안정화는 물론 서민의 주거부족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교통난을 가져왔으며, 지방정부인 광명시에 서울의 베드타운라는 오명을 안겼다. 지방정부의 도시 정체성과 자치권을 무시한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이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입증된 상황에서 또 다시 졸속으로 주거정책을 강행한다면 더 큰 부작용을 가져올 뿐이다.

 

무엇보다도 이는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지방분권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문재인 정부의 자치분권 기조와도 방향을 달리하는 것이다.

 

광명시민이 살아 왔고, 살고 있고, 앞으로 살아갈 광명시 지역의 개발 주도권은 광명시가 가져야 한다.

 

광명시는 지방정부로서 지역 정체성에 맞게 주거 뿐 아니라 교통, 문화 등 인프라를 충분히 갖춘 자족도시로 거듭나야 한다.

 

중앙정부의 택지개발로 인한 시행착오 방지, 복합자족도시 실현, 지역주민의 생계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제시되지 않은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주거정책 추진에 다시 한 번 유감을 표명한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다시 만난 우리” 광명시, 중국 랴오청시 청소년 교류단 환영식 개최
광명시청소년재단(이사장 박승원)은 8월 1일(금) 오후 5시 30분, 테이크호텔 루미나스홀에서 2025 광명시–중국 랴오청시 청소년 국제교류단 환영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환영식은 지난해 랴오청시를 방문했던 광명시 청소년들이 1년 만에 다시 교류 친구들을 맞이하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광명시 청소년 20명과 랴오청시 청소년 20명이 다시 만나 재회의 기쁨을 나눴다. 광명시와 랴오청시는 20년 이상 청소년 교류를 이어온 우호도시로, 지난해에는 광명시 청소년들이 랴오청을 방문했고, 올해는 동일한 청소년들이 광명시를 방문하면서 상호방문 형식의 교류가 완성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광명시 정순욱 부시장을 비롯해 시 관계자 및 랴오청시 교육체육국 및 외사판공실 대표단이 참석했다. 정순욱 부시장은 환영사에서 “여러분의 만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이렇게 이어져 더욱 뜻깊다”며, “청소년들의 우정이 양 도시의 미래를 견고하게 연결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환영식은 1부 공식 환영식과 2부 문화공연 및 연회로 구성되었으며, 양국 청소년이 함께 준비한 합동 공연과 환영 영상, 기념품 교환 등 다채로운 순서로 화합의 분위기를 더했다. 이번 교류단은 ‘위드메이트(With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