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행정

‘자연재난’ 재산피해액 경북 2080억으로 최대

국감자료 분석 양기대 의원 “피해액 많은 지역 재난 대비 강화해야”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지난 5년 간 자연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 금액이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경상북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양기대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광명을)실이 행정안전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 28일 발표한 지난 5년 간 광역자치단체별 자연재난 재산피해 현황자료에 따르면 경상북도가 입은 재산피해 금액은 2082억원으로 전국 17개 시도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경상북도에 이어 경상남도 1038억원, 강원도 745억원, 충청북도 745억원, 울산광역시 660억원 등의 순으로 재산피해가 많았다. 경남 지역의 재산피해액은 2위인 경북에 비해 두 배가 넘는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대설, 한파, 가뭄, 폭염, 지진 등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로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특히 올해는 역대 가장 긴 장마에 잦은 태풍으로 재산피해 금액은 지난해보다 훨씬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자연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 금액이 가장 적은 광역자치단체는 광주광역시로 12400만원이었다. 이어 대구광역시 74500만원, 세종특별자치시 83000만원, 서울특별시 291000만원, 대전광역시 339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재산피해가 가장 큰 경상북도는 가장 적은 광주에 비해 무려 1700배나 많았다.

 

지난해(2019년도) 자연재난으로 인한 전국적인 재산피해 금액은 총 2160억여원으로 전년도인 2018년도(1413억원)에 비해 53%나 늘었다. 그러나 2015년의 3186억원에 비해서는 크게 줄어든 금액이다.

 

한편 자연재난으로 발생한 인명피해(사망)는 지난해 24명으로 2018년도의 4명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경상도와 강원, 충북, 울산 등에 자연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가 다른 시도에 비해 큰 이유는 산지가 많고, 태풍이 자주 지나가는 경로에 위치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양기대 의원은 자연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 역시 지역 간에 큰 불평등 양상이 나타나는 만큼 재산피해가 큰 지역을 최우선으로 해서 자연재난에 취약한 위험지역을 선제적으로 찾아내 철저한 예방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이어 앞으로는 기후위기로 인한 장마와 태풍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 대비를 이제는 보다 과학적, 체계적, 상시적으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종합사회복지관-광명탑치과의원, 업무협약 체결
2025년 7월 30일, 시립광명종합사회복지관(관장 최효정)과 광명탑치과의원(대표원장 노영훈)은 ‘광명온(ON)동네복지관’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은 지역 내 복지안전망을 보다 촘촘히 구축하고자 추진된 것으로, 지역밀착형 복지사업을 펼치고 있는 시립광명종합사회복지관과, 주민의 구강 건강을 위해 힘쓰고 있는 광명탑치과의원이 상호 협력 체계를 마련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를 발굴하고 지역 내 다양한 복지 자원을 연계함으로써, 주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최효정 관장은 “광명온(ON)동네복지관은 주민 곁에서 일상의 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는 복지 플랫폼이다. 지역자원을 지역에서 찾고, 지역 안에서 해결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노영훈 원장 역시 “작은 진료실에서의 진료가 지역사회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가 되어 기쁘다. 건강은 곧 생활의 기본이고, 치과 진료도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주민 건강을 위한 역할에 함께하겠다.”라고 전했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