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시정소식

광명시 '2016년 NEXT경기 창조오디션 시즌3 본선 진출

경기도 광명시(시장 양기대)는 ‘업사이클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2016년 NEXT경기 창조오디션 시즌3 본선에 진출해 오는 7월12일 최종 오디션을 치른다고 밝혔다.

이번 시즌3에는 경기도 28개 시․군에서 제출한 총 42개 사업 중 현장심사 및 PT발표 등 1,2차 심사를 거쳐 7개 사업이 최종 오디션 본선에 진출했다. 광명시는 지난해 10월 열린 제2회 넥스트경기 창조오디션 본선에서 ‘광명동굴 세계로 비상하다’ 사업이 영예의 대상인 굿모닝상과 함께 상금 100억 원을 수상한 바 있다.

금년 광명시가 제안한 ‘업사이클문화산업클러스터’조성 사업은 2015년 6월 12일 자원회수시설 홍보동을 리모델링하여 폐산업문화재생사업의 거점이 된 전국 최초의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를 한 단계 발전시켜 업사이클 문화, 디자인 교육, 재료수급, 기업 육성이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문화재생 클러스터를 조성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업사이클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은 기반시설이 약한 업사이클 문화산업의 진흥을 위해 120억 규모의 기반시설 설치를 진행하는 사업이다. 세부사업은 △업사이클 재료의 원할한 공급을 위한 ‘재료은행’ △전문 업사이클 인력 양성을 위한 ‘디자인 아카데미’ △새로운 업사이클 산업의 부흥을 위한 ‘스타트업 밸리’ △판매자와 시민이 서로 친근하게 다가서기 위한 ‘마켓&페어’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광명시는 업사이클 문화도시라고 자부할 수 있는 전국최초의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와 폐광산을 연간 100만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관광지로 업사이클한 광명동굴, 그리고 자원회수시설로 연결되는 광명도시재생공원을 추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는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국도비 13억을 포함 총 23억을 들여 2015년 6월12일 개관이래 현재까지 약 25만 명이 다녀가고 4천 명이 체험학습을 수강한 국내 최초 업사이클 거점 공간이다. 앞으로 전시, 체험, 레지던시, 이벤트, 공모전 등 다양한 업사이클 교육 및 문화 활동을 통해 광명시뿐만 아니라 경기도 전역을 거점으로 하는 관광 및 도시재생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동부새마을금고, ESG 실천 앞장
광명동부새마을금고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념 실천의 일환으로 의미 있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한상구 이사장, 그린단장 선금자를 비롯한 ESG그린단 20여 명은 4월 30일, 광명시 하안동에서 철산역 상업지구까지 ‘줍킹(줍다+워킹)’ 봉사활동을 진행하며 지역 환경 보호에 앞장섰다. 이날 활동은 ESG 경영의 핵심 가치인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 실현을 목표로 기획되었으며, 도보 이동 중 도심 곳곳의 쓰레기를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폐비닐, 일회용품, 담배꽁초 등 다양한 쓰레기를 수거하며 도시 미관 개선에도 기여했다. 한상구 이사장은 “광명동부새마을금고는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며 책임을 다하는 금융기관으로, ESG 경영이념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며, “이번 활동은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을 행동으로 옮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동부새마을금고는 금융 서비스를 넘어, 지역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과 친환경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번 줍킹 활동도 지역 주민의 관심을 끌며, 일회성 이벤트를 넘어 ESG 문화를 일상으로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